
中韩两国动物俗语的比较研究 韩语毕业论文.doc
31页中韩两国动物俗语的比较研究목 차Ⅰ서론 …………………………………………………………………………51.1연구목적 및 필요성……………………………………………………51.2선행연구 검토……………………………………………………………71.3연구대상 및 연구방법…………………………………………………8Ⅱ속담의 개념 및 범주……………………………………………………………9Ⅲ중·한 동물속담의 비교연구……………… …………………………113.1동형동의………………………………………………………………113.1.1비유담 ……………………………………………………………123.1.2교훈담………………………………………………………………143.1.3금기담(예언담,속신담,길흉담)…………………………………163.2동형이의………………………………………………………………163.2.1비유담………………………………………………………………163.2.2교훈담………………………………………………………………163.2.3금기담(예언담,속신담,길흉담)…………………………………173.3이형동의………………………………………………………………173.3.1비유담………………………………………………………………173.3.2교훈담……………………………………………………………193.3.3금기담(예언담,속신담,길흉담)…………………………………21Ⅳ 결론…………………………………………………………………………22Ⅴ감사의 말…………………………………………………………………24Ⅵ참고문헌…………………………………………………………………………25摘要中韩两国不仅在地理上一衣带水,而且在历史上更是交往频繁。
众所周知,俗谈因为高度凝结了该民族、该国家的文化特质,以及从祖上传下来的思想、情感等,作为民族语言的形式在日常生活中深受欢迎本论文旨在考察中韩两国俗谈的文化背景意义为此先将俗谈根据内容和形式的异同进行分类,再考察俗谈的文化背景意义同形同意俗谈是指文化意义相同,内容、表现形式统一或者类似的俗谈同形异意俗谈是指文化意义不同,内容、表现形式相同或者类似的俗谈异形同意俗谈是指文化意义相同但内容、表现形式不同的俗谈所以本研究以中国学生为对象,通过比较中韩动物俗谈,找出中韩两国的文化差异以及更有效的进行教育指导的方法关键词:动物俗谈,比较, 文化개요한국과 중국은 국토가 연이어 있을 뿐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수천 년 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속담은 그 민족, 그 나라의 문화적 특질과 그 민족, 조상 전래의 사상이나 감정, 염원 등이 과거와 현재에 걸쳐 축소 응결되어 있는 민족 언어 형태로서 일상생활 속에서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중한 속담의 문화 배경적 의미(속담의 문화적 의미)를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들 속담을 내용과 형식의 같고 다름에 따라 분류한 후, 속담의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였다.동형 동의 속담은 문화적 의미가 같고 내용과 표현형식까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는 것이다. 동형 이의 속담은 문화적 의미는 서로 다르지만 내용과 표현 형식은 같거나 서로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형 동의 속담은 같은 문화적 의미를 지니지만 형식이나 내용이 서로 다른 속담, 즉 속담의 지칭적 의미가 상이한 속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한 동물속담을 비교하여 중한 양국의 문화 차이를 밝히고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차이를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키워드: 동물속담, 비교, 문화.Ⅰ서론1.1연구목적 및 필요성 사회가 발전하면서 교제 도구인 언어도 나날이 달라질 정도로 변화해 간다. 특히 주의할 만한 것은 간결하고 생동한 속담이 차츰 중요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속담은 “오랜 옛날 우리 조상 때부터 내려오는 가장 짧은 문학”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그 것은 속담 속에는 민중들의 인생의 진리와 여유, 해학, 현명한 삶을 위한 교훈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속담을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조상들의 삶의 방식과 교훈을 이해하는 것과도 같다. 이처럼, 속담에는 자연스럽게 각 지방 풍습과 성격이 잘 나타나 있으며 오랜 세월 경험으로 터득한 생활의 지혜가 압축되어 있다. 속담은 다양한 문화요소를 반영한다. 그러므로 중한 양국의속담을 비교·대조함으로써 문화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결과 나타난 차이점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문화 교육의 방안을 제시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우리는 무조건 속담을 잘 배워야 한다.그런데 한국어를 배우면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그리고도 배우기에 어려운 부분이 속담이다. 이야기할 때 어떻게 표현해야 한국인 청자에게 의사소통이 꾸김없이 잘 되는지 고민하게 되어 한국어를 배우는 우리에게 너무나 큰 어려움이 아닐 수 없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최종 목표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이고 문화교육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각 나라의 속담은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어 속담의 종류나 형식이 다양한데 이 연구에서는 주로 동물속담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동물속담은 동물을 소재로 한 속담을 말한다. 물론 음식, 의복, 자연현상 등 다른 소재를 중심으로 다룬 속담에도 문화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동물을 대상이기 때문에 동물속담은 인간의 문화를 가장 밀접하게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동물속담 비교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생활과 사상, 문화를 비교하고자 한다.한국어를 어느 정도 아는 중국인은 한국 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를 중국 속담 "亡羊补牢,(犹为未晚)"와는 같은 뜻으로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중국어를 완벽하게 배우지 못한 한국인은 역시 이 두 속담을 같은 뜻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는 글자만 보고 뜻을 대강 짐작하는 현상으로, 외국어를 배우는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일단 표층적 의미를 보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와 "亡羊补牢,(犹为未晚)"는 의미가 같다고 할 수 있지만, 양국의 문화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고 언어에 대한 이해와 언어사용도 일정한 문화 배경 안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문화적 배경이 다르고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서로 다른 두 사회 집단이 상대방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언어 연구는 단순히 형태에만 국한해서는 안 되고 언어의 심층적인 문화 메커니즘을 중시해야 하는 것이다.한국과 중국은 국토가 연이어 있을 뿐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수천 년 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따라서 민간의 풍속이나 습관, 정부의 제도 나아가 문화 예술의 각 방면에 이르기까지 같은 뿌리를 가진 공통점이 많이 있다. 그러나 각각 발전하고 있는 두 민족, 혹은 두 나라로서는 아무리 가까이 있다고 하더라도 차이점 또한 적지 않다. 중한 양국은 1992년 수교한 이래 정치, 경제 등 각 분야에서 빠른 속도로 교류를 증진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 부응하기 위해서 중한양국 간에는 언어문화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언어는 상호 의사소통의 도구이기 때문이다.주지하다시피 시, 수필, 소설, 속담과 같은 많은 언어 표현은 문화의 산물이다. 이 중에서도 속담은 그 민족, 그 나라의 문화적 특질과 그 민족, 조상 전래의 사상이나 감정, 염원 등이 과거와 현재에 걸쳐 축소 응결되어 있는 민족 언어 형태로서 일상생활 속에서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래서 속담은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이며 그 민족의 역사, 종교, 미신, 풍속, 제도, 사고방식 등을 이해하는 좋은 자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속담은 잘 알지 못하면 화자와 청자 사이에 서로 오해를 사기 쉽다. 특히 외국인에게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점에서 속담 비교 연구는 다른 언어 형식에 비하여 더욱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한 속담에 문화 배경적 의미(속담의 문화적 의미)를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한다.그리고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인이나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인이 교과서 외에 보충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나 중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이 보충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1.2 선행연구 검토속담에 대한 연구는 속담의 내용, 비교방법, 속담교육 등 세 가지 차원에 서 논의되어 왔다.첫째, 속담의 내용에 대한 연구는 속담의 소재별에 대한 논의와 속담의 사유방식에 대한 논의로 나눌 수 있다. 소재별에 대한 논의는 김병웅(1992), 윤근원(1998), 유용현(2000),김미정(2003), 양재택(2004) 의 동물을 소재로 한 논의, 이규태(1980)와 이유정(1997)의 여인을 주제로 한 논의, 문어선(2001)의 떡을 소재로 한 논의가 있다.또한 속담 소재별 연구로서 김병웅 (1992) 「우리말 속담 큰 사전」 (송재선,1990)을 자료로 하여 분석했는데, 속담 25,557개 중 동물 속담의 수는 4,302개로 전체 속담의 16.8%를 차지하였다. 또 동물 속담을 화자의 심리적 측면을 토대로 하여 고지형, 조롱형, 한탄형, 교도형, 위로형, 지시형, 공격형으로 분류하고 고지형과 조롱형이 86.5%로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김병웅은 전체 동물 속담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전면성이 돋보인다.다음으로 속담의 내용에 대한 연구로 한국인의 사유방식에 대한 논의가 있다. 유인찬(1981)의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활관, 우성영(1981) 의 속담을 통해 본 한국인의 교육관, 이미경(1999)의 한국 민담과 속담에 나타난 복지사상 등이 그것이다. 이들 연구는 모두 한국이나 중국 어느 한 쪽의 속담형식이나, 사상, 수사법 등을 논의하는 데 그쳤다.둘째, 중한 속담 비교에 대한 논의는 주로 속담의 형태와 의미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陆欣(1997)은 중한 속담 비교 연구에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양국 속담의 표현형식과 의미내용을 비교하였는데 형식면에서는 각종 표현 기법에 따라 두 나라의 속담을 고찰하였고, 의미내용에서는 동의동형, 동의 불동형, 불동의 불동형 등으로 나누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