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千字文,中韩对照.doc
22页天地玄黃 天地玄黃(천지현황) : 하늘은 위에 있으니 그 빛이 검고 그윽하며, 땅은 아래 있으니 그 빛이 누르다.하늘 천땅 지검을 현누를 황宇宙洪荒 宇宙洪荒(우주홍황) :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다. 즉 세상의 넓음을 말한다.집 우집 주넓을 홍거칠 황日月盈 日月盈(일월영측) : 해는 서쪽으로 기울고 달도 차면 점차 이지러진다. 즉 우주의 진리를 말한다.날 일달 월찰 영기울 측辰宿列張 辰宿列張(진숙열장) : 별자리가 하늘에 넓게 벌려져 있음을 말한다.별 진잘 숙벌일 열베풀 장寒來暑往 寒來暑往(한래서왕) : 추위가 오면 더위가 가고 더위가 오면 추위가 간다. 즉 계절의 바뀜을 말한다.찰 한올 래더울 서갈 왕秋收冬藏 秋收冬藏(추수동장) : 가을에 곡식을 거두고 겨울이 오면 저장한다.가을 추 거둘 수겨울 동저장할 장閏餘成歲 閏餘成歲(윤여성세) : 일년 이십사절기의 나머지 시각을 모아 윤달로 하여 한 해를 이루었다.윤달 윤남을 여이룰 성해 세律呂調陽 律呂調陽(율려조양) : 율려가 천지간의 양기를 고르게 하니, 즉 율은 양(陽)이요, 려는 음(陰)이다.※율려-6률(六律)과 6려(六呂)를 말하며 음악 또는 가락을 뜻한다.가락 률음률 려고를 조볕 양雲騰致雨 雲騰致雨(운등치우) : 수증기가 올라가 구름이 되고, 찬 기운을 만나 비가 된다. 즉 자연의 기상을 말한다.구름 운오를 등이를 치비 우露結爲霜 露結爲霜(노결위상) : 이슬이 맺어 서리가 되니 밤기운이 풀잎에 물방울처럼 이슬을 이룬다.이슬 로맺을 결할 위서리 상金生麗水 金生麗水(금생여수) : 금은 여수에서 나니, 여수는 중국의 지명이다.쇠 금낳을 생고울 려물 수玉出崑岡 玉出崑岡(옥출곤강) : 옥은 곤강에서 나니, 곤강은 역시 중국의 산 이름이다.구슬 옥날 출산이름곤언덕 강劍號巨闕 劍號巨闕(검호거궐) : 거궐은 칼이름이고 구야자가 만든 보검이다. 즉 조나라의 국보다.칼 검이름 호클 거대궐 궐珠稱夜光 珠稱夜光(주칭야광) : 구슬의 빛이 밤의 낮 같으니 야광이라 칭하였다.구슬 주일컬을 칭밤 야빛 광果珍李柰 果珍李柰(과진이내) : 과실 중에 오얏(자두)과 능금나무의 그 진미가 으뜸임을 말한다.과실 과보배 진오얏 리능금나무 내菜重芥薑 菜重芥薑(채중개강) : 나물은 겨자와 생강이 중요하다.나물 채무거울 중겨자 개생강 강海鹹河淡 海鹹河淡(해함하담) : 바다 물은 짜고 민물은 아무 맛도 없고 맑다.바다 해짤 함물 하묽을 담鱗潛羽翔 鱗潛羽翔(인잠우상) : 비늘 있는 고기는 물 속에 잠기고 날개 있는 새는 하늘을 난다.비늘 린잠길 잠깃 우높이 날 상龍師火帝 龍師火帝(용사화제) : 복희씨는 용으로써 벼슬을 기록하고, 신농씨는 불로써 기록하였다. ※용의 모습으로 8괘를 가르친 스승인 복희씨, 불을 다스린 황제인 신농씨를 말한다.용 용스승 사불 화임금 제鳥官人皇 鳥官人皇(조관인황) : 소호(小昊)는 새로써 벼슬을 기록하고, 황제(皇帝)는 인문을 갖추었으므로 인황이라 하였다.새 조벼슬 관사람 인임금 황始制文字 始制文字(시제문자) : 복희씨의 신하 창힐이라는 사람이 새의 발자국를 보고 글자를 처음 만들었다.처음 시지을 제글월 문글자 자乃服衣裳 乃服衣裳(내복의상) : 이에 의상을 입게 하니 황제가 의관을 지어 등분을 분별하고 위의(위엄이 있는 몸가짐이나 차림새)를 엄숙케 하였다.이에 내옷 복옷 의치마 상推位讓國 推位讓國(추위양국) : 벼슬을 미루고 나라를 사양하여 왕위를 물려주었으니밀 추자리 위사양할 양나라 국有虞陶唐 有虞陶唐(유우도당) : 유우는 왕위를 물려받은 순(舜)임금이요, 도당은 왕위를 물려준 우(禹)임금이다. 즉, 중국 고대 제왕들이다.있을 유헤아릴 우질그릇 도당나라 당弔民伐罪 弔民伐罪(조민벌죄) : 불쌍한 백성은 돕고 죄지은 백성은 벌주었다.슬퍼할 조백성 민칠 벌허물 죄周發殷湯 周發殷湯(주발은탕) : 주발은 주나라 무왕(武王)의 이름이고, 은탕은 은나라 탕왕(湯王)의 칭호이다.두루 주쏠 발성할 은끓을 탕坐朝問道 坐朝問道(좌조문도) : 천하를 통일하여 왕위에 앉아, 나라 다스리는 법을 묻는다면앉을 좌조정 조물을 문길 도垂拱平章 垂拱平章(수공평장) : 밝고 평화스럽게 다스리는 길을 임금이 겸손히 생각함을 말한다.드리울 수두 손 맞잡을 공평평할 평글월 장愛育黎首 愛育黎首(애육여수) : 명군(明君)이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 黎首(백성)를 사랑하고 양육하면사랑 애기를 육검을 려머리 수臣伏戎羌 臣伏戎羌(신복융강) : 그 덕에 융과 강(오랑캐들)도 항복하여 신민(臣民)이 된다.신하 신엎드릴 복오랑캐 융오랑캐 강遐邇壹體 遐邇壹體(하이일체)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 그 덕망에 귀순하여 일체가 될 수 있다.멀 하가까울 이한 일몸 체率賓歸王 率賓歸王(솔빈귀왕) : 백성을 거느리고 복종하여 왕에게 돌아오니 덕을 입어 복종치 않음이 없음이다.거느릴 솔손 빈돌아갈 귀임금 왕鳴鳳在樹 鳴鳳在樹(명봉재수) : 명군 성현(名君聖賢)이 나타나면 봉이 운다는 말과 같이 덕망이 미치는 곳마다 봉이 나무 위에서 울 것이다.울 명봉황새 봉있을 재나무 수白駒食場 白駒食場(백구식장) : 흰 망아지도 감화되어 사람을 따르며 평화롭게 마당 풀을 뜯어먹게 한다.흰 백망아지 구먹을 식마당 장化被草木 化被草木(화피초목) : 덕화(德化)가 사람이나 짐승에게만 미칠 뿐 아니라 초목에까지도 미치며될 화입을 피풀 초나무 목賴及萬方 賴及萬方(뇌급만방) : 만방이 극히 넓으나 어진 덕이 고루 미치게 된다.힘입을 뢰미칠 급일만 만모 방蓋此身髮 蓋此身髮(개차신발) : 몸에 있는 털은 사람마다 없는 이가 없듯이덮을 개이 차몸 신터럭 발四大五常 四大五常(사대오상) : 세상에는 네 가지 큰 것(道, 天, 地, 王)과 다섯 가지 떳떳함(仁, 義, 禮, 智, 信)이 있다.넉 사큰 대다섯 오항상 상恭惟鞠養 恭惟鞠養(공유국양) : 국양(몸을 기름)함을 공손히 하라. 이 몸은 부모의 기르신 은혜이기 때문이다.공손할 공오직 유기를 국기를 양豈敢毁傷 豈敢毁傷(기감훼상) : 부모께서 낳아 길러 주신 이 몸을 어찌 감히 훼상할 수 있으랴.어찌 기감히 감헐 훼상할 상女慕貞烈 女慕貞烈(여모정렬) : 여자는 정조를 굳게 지키고 행실을 단정하게 하여야 하며 ※烈→潔(맑을 결)로 쓰인 곳도 있음계집 녀사모할 모곧을 정매울 렬男效才良 男效才良(남효재량) : 남자는 재능을 닦고 어진 것을 본받아야 한다.사내 남본받을 효재주 재어질 량知過必改 知過必改(지과필개) : 누구나 허물이 있는 것이니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야 하고알 지지날 과반드시 필고칠 개得能莫忘 得能莫忘(득능막망) : 사람으로써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에는 잊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얻을 득능할 능말 막잊을 망罔談彼短 罔談彼短(망담피단) : 자기의 단점을 말 안하는 동시에 남의 잘못을 욕하지 말라.없을 망말씀 담저 피짧을 단靡恃己長 靡恃己長(미시기장) : 자신의 장점을 믿고 자랑하지 말라. 그럼으로써 더욱 발달한다. ※長 : 어른 장, 오랠 장, 뛰어날 장아닐 미믿을 시자기 기길 장信使可覆 信使可覆(신사가복) : 믿음은 지키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더욱 조심해야 하고믿을 신하여금 사옳을 가뒤집힐 복器欲難量 器欲難量(기욕난량) : 사람의 기량은 헤아리기 어려우므로 함부로 판단해서는 안된다.그릇 기하고자 할 욕어려울 난헤아릴 량墨悲絲染 墨悲絲染(묵비사염) : 흰 실에 검은 물이 들면 다시 희지 못함을 슬퍼한다. 즉 사람도 매사를 조심하여야 한다.먹 묵슬플 비실 사물들일 염詩讚羔羊 詩讚羔羊(시찬고양) : 시경 고양편에 문왕의 덕을 입은 남국 대부의 정직함을 칭찬하였으니 사람의 선악을 말한 것이다.시 시칭찬할 찬새끼양 고양 양景行維賢 景行維賢(경행유현) : 행실을 훌륭하게 하고 당당하게 행하면 어진 사람이 되고 ※景 : 경치 경, 모양 경, 클 경, 우러를 경볕 경다닐 행바 유어질 현克念作聖 克念作聖(극념작성) : 성인의 언행을 잘 생각하여 수양을 쌓으면 자연히 성인이 됨을 말한다. ※克, 剋 =이길 극이길 극생각 념지을 작성인 성德建名立 德建名立(덕건명립) : 항상 덕을 가지고 세상 일을 행하면 저절로 이름도 서게 되고덕 덕세울 건이름 명설 립形端表正 形端表正(형단표정) : 몸 형상이 단。












